2025년 푸른 뱀의 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
- 에브리사이트, CES 2025 참가하여 매버릭 소개 🕶️
- 스토어닷, 2025년 전기차 로드맵 공개 🎯
- 소셜인프라테크, 블록체인 기술 특허 9건 추가…총 29건 확보 🔗
- 아이미마인, 서울패션허브 'FASHION HUB SCALE-UP 2024' 데모데이 참가 👚
|
|
|
| 이스라엘 뉴스 |
엔비디아, 이스라엘 AI 스타트업 인수 · 2년간 유니콘 10곳 늘어난 이스라엘
|
|
|
| 분야별 뉴스 |
엔비디아 AI스타트업 투자 · SK하이닉스 · 최태원 회장, 로봇AI 협업 결심 · 작년 신규승인 AI의료기기
|
| 경제 뉴스 |
올해 韓성장률 전망 · 대기업 집단 시총 감소 · 나라살림 적자 · 트럼프, 관세 인상 논의 |
|
|
에브리사이트
에브리사이트, CES 2025 참가하여 매버릭 소개 🕶️
|
|
|
에브리사이트가 1월 7-10일 라스 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서 부스 No. 14958 에서 매버릭 AR 글래스를 선보였습니다. 관객들의 뜨거웠던 현장 반응과 사진이 궁금하시다면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
|
|
스토어닷
스토어닷, 2025년 전기차 로드맵 공개 🎯
|
|
|
스토어닷은 2025년을 맞아 야심찬 목표와 혁신적인 발전으로 전기차 혁명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C-샘플 확대
- 5개 주요 전기차 OEM과 함께 B-샘플에서 C-샘플로 전환
- 초고속 충전(XFC) 기술의 대량 생산 및 주류 시장 진입 위한 중요한 단계
*원통형 셀 개발
- 세계 최초 4695 포맷의 XFC 원통형 셀 출시 예정
- 전기차 제조업체들에게 향상된 주행 거리, 더 빠른 충전 능력, 개선된 전반적 성능 제공
*글로벌 생산 확대
- 중국과 한국의 기존 생산 거점을 넘어 새로운 지역으로 제조 기반 확장
- 원활한 공급망 관리와 XFC 배터리 기술에 대한 전 세계 수요 충족
스토어닷은 혁신을 통해 전기차 시장을 변화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 로드맵은 전기 모빌리티의 미래를 재정의할 초고속 충전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회사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
|
|
소셜인프라테크
소셜인프라테크, 블록체인 기술 특허 9건 추가…총 29건 확보 🔗
|
|
|
소셜인프라테크는 최근 9건의 신규 특허가 특허청 심사를 통과하여, 총 29건의 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등록된 특허 중 하나인 ‘데이터의 소유권 증명과 외부 공유를 위한 연동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초경량 블록체인(퍼스널 블록체인)을 활용해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과 저작권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증하고 기록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네트워크 연결이 없는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소셜인프라테크는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개인 디지털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소유권을 명확하게 증명하는 서비스 ‘MyChain(마이체인)’과 스마트폰에서 촬영되는 사진의 생성 시점을 블록체인에 기록해 원본 여부를 확인하고 위변조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Factstamp(팩트스탬프)’를 상용화했습니다. 현재 두 애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에서 이용 가능하며, 2025년 상반기에는 iOS 버전도 출시될 예정입니다. |
|
|
아이미마인
아이미마인, 서울패션허브 'FASHION HUB SCALE-UP 2024' 데모데이 참가 👚
|
|
|
아이미마인이 지난 12월 23일 서울패션허브가 주최한 "FASHION HUB SCALE-UP 2024" 데모데이에 참가했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아이미마인을 포함한 서울패션허브 입주기업 9개사가 10분씩 IR 피칭을 진행했으며, 투자자와 패션업계 전문가들 앞에서 자사의 브랜드와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고, 향후 성장 가능성과 투자 유치 기회를 모색했습니다.
이번 데모데이는 서울패션허브 입주기업들이 비즈니스 기회를 확장하고 투자자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자리였으며, 아이미마인은 이를 통해 더 많은 투자 유치와 협업 기회를 얻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행사 후에는 투자 유치 후속 프로그램과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 성장을 도울 예정입니다. |
|
|
엔비디아는 반독점조사가 완료된 후 이스라엘의 인공지능(AI)회사인 런에이아이의 인수를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날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모든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하락한 가운데 오전 10시 20분 기준 0.3%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로이터에 따르면, 7억달러(1조원) 규모인 엔비디아의 이 인공지능 스타트업 거래는 반독점 조사를 진행해온 유럽위원회가 이달 초 승인한다고 밝혔습니다. 런에이아이는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자사 소프트웨어를 오픈 소스로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회사는 “현재는 엔비디아의 GPU만 지원하지만, 소프트웨어를 오픈 소스로 공개하면 전체 AI생태계에서 사용 가능성을 확장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
|
|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협상 타결이 임박하면서 이스라엘 주도 ‘중동 새판 짜기’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난해 10월 7일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후 이스라엘의 군사작전이 속속 승리를 거두면서 ‘저항의 축’이 크게 약화됐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주도 ‘중동 새판 짜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이스라엘 하이테크 스타트업들입니다. 전쟁 상황에서도 이들의 글로벌 경쟁력에 힘입어 이스라엘 경제·산업은 계속 탄탄대로를 달렸습니다. 이스라엘 재무부에 따르면 이스라엘 경제성장률은 올해 0.4%에서 내년 4.3%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예루살렘포스트는 “이스라엘 국방부는 스타트업 270여 곳과 직·간접적으로 협력하고 있다”며 “최근 하이테크 중심에 방위산업이 자리를 잡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
|
|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2024년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등 기업들에 10억달러(약 1조4천700억원) 넘게 투자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습니다. 기업 공시와 기업 정보 업체 딜룸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지난해 스타트업 자금조달(펀딩) 50건과 인수합병을 포함한 기업 거래 여러 건에 모두 10억 달러 상당을 투자했습니다. 이는 2023년보다 15% 늘고 2022년의 10배를 넘는 것입니다. 엔비디아의 이같은 펀딩 라운드 참여 건수는 구글보다는 여전히 적지만 지난 2년 새 급증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아마존을 따라잡았습니다. 엔비디아는 AI칩 선두 기업으로, AI 열풍을 타고 이 기업 주가는 지난해 170% 이상 급등했습니다. |
|
|
SK하이닉스가 최근 개발 중인 고대역폭메모리(HBM)3E 16단 샘플에 한미반도체 장비가 적용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SK하이닉스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5'에 출품한 'HBM3E 16H' 제품은 한미반도체의 TC본더(그리핀 슈퍼 본딩 헤드)가 활용됐습니다. SK하이닉스 내부 사정에 밝은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회사가 본더 관련해 벤더 다변화를 추진하면서 여러 옵션을 두는 듯 했지만, HBM3E 16단의 경우 한미 장비를 활용한 게 맞다"고 말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앞서 지난해 11월 열린 'SK AI 서밋'에서 HBM3E 16단 개발을 공식화했습니다. HBM3E 16단은 엔비디아 최신 AI 가속기인 '블랙웰' 차기 버전 탑재가 유력합니다. |
|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8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이사(CEO)와 회동을 갖고 고대역폭메모리(HBM)는 물론 로봇 분야에서 협업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모든 산업에 인공지능(AI)이 적용되고 있는 만큼 데이터센터 등 AI 사업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최 회장은 올해 그룹 사업 전략으로 리밸런싱(사업 구조 최적화)과 투자를 병행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하나의 기조로만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느다”며 “투자라는 것이 리밸런싱의 일환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지난달 우울증 진단 인공지능(AI) 기기, 뇌 검출 진단 기기 등 다수가 국내에서 의료기기로 사용 승인을 받았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4년 12월 동안 총 124건의 의료제품을 승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2023년 월평균 195건에 비해 36.4% 감소한 수치지만, 2024년 3분기와 같은 월평균 124건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의약품 37개, 의약외품 5개, 의료기기 82개가 각각 허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이번 달에는 AI 기반의 의료기기들이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습니다. 아크릴의 최초 AI 기반 우울증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ACRYL-D01’이 승인을 받았으며, 이는 환자의 인터뷰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울증 확률을 수치화해 의사의 진단을 지원합니다. 그 외에도 유방암 영상 검출 및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배럴아이), 뇌 영상 검출 및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뉴냅스), 생체신호 분석 소프트웨어(카카오헬스케어) 등이 승인됐습니다.
|
|
|
글로벌 주요 투자은행(IB)의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7%로 나타났습니다. 일부 IB의 경우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이 1.3%에 그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도 내놨습니다. 7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주요 IB 8곳이 최근 내놓은 한국 경제성장률 평균치는 1.7%였습니다. 이는 우리 잠재성장률인 2.0%를 밑돌며 한국은행의 올해 전망치인 1.9%나 정부 전망치인 1.8%에 비해서도 다소 낮은 수치입니다. IB가 바라본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아시아 주요국에 비해 크게 낮았습니다. 한국이 1.7%에 그치는 동안 홍콩은 2.0%, 대만 2.9%, 싱가포르 2.6%, 태국, 2.8%, 인도네시아 5.0%, 필리핀 6.0%, 베트남은 6.6%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
|
지난해 삼성그룹 시가총액이 167조원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내 대기업 집단 중 최대입니다. SK 그룹은 시총은 급증해 LG 그룹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섰습니다. 지난해 대기업집단 상장계열사 시총은 251조원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룹별로는 삼성 상장 계열사 시총 감소액이 가장 많았습니다. 삼성그룹 시총은 2023년 말 710조801억원에서 지난해 말 543조3305억원으로 166조7496억원(23.5%) 감소했습니다. |
|
|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나라 살림 적자 규모가 전년 대비 16조4000억원 늘어 81조원을 넘겼습니다. 이는 11월 기준으로 역대 세 번째로 많은 적자 규모입니다. 기획재정부가 9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월호'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누계 총수입은 542조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2조8000억원 증가했습니다. 예산 대비 진도율은 88.5%였습니다.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팀이 매월 2~5%씩 점진적으로 관세를 인상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관세를 지렛대로 삼아 무역상대국과의 협상력은 높이되 이로 인한 인플레이션 반등은 피하겠다는 전략입니다. 트럼프 2기 경제팀에 포함된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지명자,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지명자, 스티브 미런 대통령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 지명자 등이 이러한 점진적 관세 인상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됐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근거로 관세 세율을 한 달에 2~5%씩 높여가는 방안 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1977년 제정된 IEEPA는 미국에 안보, 외교적 위협, 경제 위기 등 국가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대통령에게 경제 제재, 무역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
|
|
더 많은 요즈마 소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세요! |
|
|
요즈마그룹코리아
request@yozma.asia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457 S&C TOWER 9층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