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 전국 곳곳에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첫눈이 내렸는데요, 포근하고 행복한 겨울 맞이하시기 바라며 요즈마그룹코리아의 11월 17일 (금) 뉴스레터 전달드립니다❄️☃️ |
|
|
주요 소식
- 알파타우메디컬, 23년도 Q3 재무 실적 발표 및 기업 업데이트 제공
- 美 항공우주 제조사, 플래테인 AI 솔루션 도입
- 나녹스, 12월 27일 연례 주주총회 개최
- 가트너 선정 2024 기술 트렌드 - 지속적 위협 노출 관리 (CTEM)
|
|
|
Alpha Tau Medical
알파타우메디컬, 2023년도 3분기 재무 실적 발표 |
|
|
알파타우메디컬이 2023년도 3분기 재무 실적 및 기업 업데이트를 16일(현지시간) 발표했습니다.
최신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
- 미국 내 두 번째 제조 시설 설립을 위해 뉴햄프셔주 허드슨 소재 14,000ft² 규모의 건물에 대한 장기 임대 계약 체결
- 스티븐 한 전 미국 식품의약국(FDA) 국장을 과학자문위원으로 위촉
- 캐나다 몬트리올 임상과 병행하여 이스라엘 하다사 메디컬 센터에서 첫 번째 수술 불가능 진행성 췌장암 환자 알파다트(AlphaDaRT™) 치료
- 알파다트 장기 치료의 안정성 및 유효성을 입증하는 4건의 두경부암 및 피부암 전향적 임상 결과 발표 - ▲ 완전반응(CR)률 89%, ▲ 2년 국소 무 재발 생존율 77%, ▲ 3등급 이상 급성 독성 無, ▲ 치료 6개월 이후 2등급 이상의 후기 독성 無
단기 마일스톤 :
- 23년도 4분기
-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실시 중인 진행성 췌장암 안정성 및 타당성 임상 중간 데이터 발표
- 일본 내 시판 전 승인을 위해 재발성 두경부암 임상 결과 규제 당국(PMDA) 제출
- 24년도 상반기
- 캐나다 간 전이 안정성 및 타당성 임상 진행 - 현재 환자 모집 중
- 이스라엘 폐암 안정성 및 타당성 임상 진행 - 현재 환자 모집 중
- 첫 뇌암 치료 목표
- 미국 내 다기관 재발성 피부 편평세포암 임상인 'ReSTART' 환자 모집 완료 목표
주요 재무 현황 :
|
|
|
Plataine
美 항공우주 제조사, 플래테인 AI 솔루션 도입 |
|
|
플래테인은 미국의 한 항공우주 제조사가 생산 프로세스를 디지털화, 자동화 및 최적화하기 위해 자사의 AI 기반 솔루션을 구현했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플래테인은 구체적인 업체명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자동 섬유 배치(AFP)와 같은 고급 제조 공정을 사용해 민간 산업 및 방위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항공우주 제조사"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기업은 플래테인의 AI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을 통해 자재 입고부터 취급, 최종 부품 생산에 이르는 전체 자재 흐름을 자동화하여 작업 시간 절약, 자재 활용도, 생산 지연 방지 등 다양한 제조 문제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
|
|
Nanox
나녹스, 12월 27일 연례 주주총회 개최 |
|
|
나녹스가 오는 12월 27일(현지시간) 이스라엘 네브 일란에서 연례 주주총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총회는 이사진 재선임 여부 결의 등의 안건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
|
|
UltraRed
가트너 선정 2024 기술 트렌드 - 지속적 위협 노출 관리(CTEM) |
|
|
글로벌 IT 리서치 업체 가트너는 2024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 10가지 중 하나로 '지속적인 위협 노출 관리(Continuous Threat Exposure Management, CTEM)'를 꼽았습니다. CTEM은 보안 위협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응을 통해 기업의 정보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아사프 루소 울트라레드 프로덕트 매니저는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세계 최초의 CTEM 플랫폼 개발 기업 울트라레드는 가트너가 언급한 CTEM 사이클(범위 지정-탐색-우선순위-유효성 검증-인력 동원)의 전 단계를 처리하는 단일 통합 솔루션을 설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가트너가 제시한 트렌드 중 다수가 AI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울트라레드가 최근 도입한 생성형 AI 보안 어시스턴트 VITA AI를 소개했습니다. |
|
|
마이크로LED 시장 2028년 14억 달러 전망, 자동차 디스플레이로 장점 부각
시장조사기관 DSCC는 16일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초소형 LED 소자가 스스로 빛을 내 화소 역할을 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은 2028년에는 14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며 “마이크로LED는 우수한 성능이 더 높은 가격을 정당화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 AR 안경, 자동차 디스플레이와 같은 일부 기기에 서서히 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
|
|
반도체 슈퍼사이클 이끌 또 다른 기대주, '온디바이스 AI'가 온다
생성형 AI 열풍이 '온디바이스 AI'로 확대되며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 새로운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버를 거치지 않고 스마트기기 자체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연산하는 온디바이스 AI에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지만 전력소모는 적은 메모리 반도체가 필수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
|
|
음악수익증권 플랫폼을 운영하는 뮤직카우가 15일 금감원에 최초의 비금전 신탁수익증권 발행을 노리고 증권신고서를 제출했습니다. 이날 제출된 증권신고서가 통과되면 비정형 자산이 금융당국의 증권 발행 가이드라인에 따라 증권화되는 최초 사례가 됩니다.
|
|
|
최근 의료기기 분야 성장세가 눈부십니다. 의료기기 기업에 투자하는 한 VC 고위 임원은 “투자 시장에서도 신약이나 바이오 벤처보다는 의료기기 기업들에 투자하는 빈도가 훨씬 높다”며 “그 이유는 숫자가 나오기 때문이다. 즉 매출이 잡힌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해외 시장에서의 성과가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
|
|
대기업 관심 쏠리는 '로봇 시장'···M&A 시장 훈풍 기대감
삼성전자-레인보우로보틱스, 현대차-보스턴다이내믹스, LG전자-엔젤로보틱스 등 국내 대기업들이 앞다투어 로봇 사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점 찍고 뛰어들고 있습니다. 신성장 동력을 발굴해야 하는 대기업들이 인수합병(M&A)과 지분투자를 통해 로봇 시장 내 기업경쟁력을 강화할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
|
|
요즈마그룹코리아yozma@yozma.asia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318 SB타워 07052085405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