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트라사이트 AI 솔루션, 통해 국내 의료기기 인증✅
-
스토어닷, 실리콘-음극재 고속 충전 특허 확보로 특허 우위 확보🔋
- 울트라레드 슈타우버 대표, 사이버 공격 급증...선제적, 검증 우선 방어로 맞서야🎯
-
나녹스, 2분기 가상 투자자 서밋 이벤트서 전략적 개요 발표📢
- 알파타우, IAOO2025에서 두경부암 치료 임상 초기 결과 발표🔬
- 나녹스, 美 카이저 대학과 임상 및 교육 협력 발표📢
|
|
|
| 이스라엘 뉴스 |
· 트럼프 "이스라엘, 가자 휴전 조건 동의…하마스도 수용하길"
· 이스라엘 퀀텀 컴퓨팅 ‘퀘드마(QEDMA)’, 2600만 달러 시리즈A 투자 유치
|
|
|
| 분야별 뉴스 |
얼어붙은 리튬값…"배터리 소재사 흑자도 감지덕지" · 이번엔 애플에서...메타, 또 AI인재 빼와 · 코인 공매도 길열리나?…‘대출’ 시작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 美, 스테이블코인법 제정 임박… 국내도 법제화 속도
|
| 경제 뉴스 |
트럼프, 韓에 관세 서한 "8월 1일부터 25%, 무역장벽 제거 땐 조정" · 되살아난 관세 공포… 美 증시 3대 지수 1% 하락 · '배당성향 35%↑', 금융지주 밸류업 전략 강화한다 |
|
|
울트라사이트
울트라사이트 AI 솔루션, 국내 의료기기 인증✅
|
|
|
울트라사이트의 ‘울트라사이트 AI 가이던스(UltraSight AI Guidance)’ 솔루션이 셀바스인비전을 통해 국내에 도입돼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NIDS)으로부터 디지털 의료기기 2등급(제품코드 B1ABXA1)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이를 통해 ‘울트라사이트 AI 가이던스’는 국내 의료 현장에서 정식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됐으며, 응급의료, 1차 진료, 원격의료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심장 진단의 접근성과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
|
|
스토어닷
스토어닷, 실리콘-음극재 고속 충전 특허 확보로 특허 우위 확보🔋
|
|
|
스토어닷이 7월 7일 미국에서 1건의 특허 획득과 2건의 핵심 특허 출원에 대한 허가 통보(Notice of Allowance)를 받으며 지식재산권 포트폴리오를 크게 강화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해당 특허들은 곧 발행될 예정입니다.
이 특허들은 이제 스토어닷의 XFC 쉴드 프레임워크의 핵심 구성요소가 되며, 고속 충전을 위한 주요 활성 음극 재료로서 실리콘을 사용하는데 있어 스토어닷의 입지를 공고히 하게 됩니다. 이번 성과는 스토어닷이 고속충전 배터리 기술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특허 포트폴리오를 한층 더 견고히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정표라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
|
|
울트라레드
울트라레드 슈타우버 대표, 사이버 공격 급증... 선제적, 검증 우선 방어로 맞서야🎯 |
|
|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 출신 사이버 보안 전문가, 에란 슈타우버 울트라레드 대표는 한국의 사이버 보안 상황이 2020년 일본이 겪었던 APT들의 대규모 공격과 유사하다며 경고를 보냈습니다. 그는 일본은 공격을 계기로 '적극적 사이버 방어법을 제정하고 지속적 위협 노출 관리(CTEM) 등 선제적 보안 전략으로 전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스라엘 또한 사이버 돔과 글로벌 협력 플랫폼 크리스탈 볼 같은 첨단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특히 8200부대 등 군 중심의 체계적인 사이버 인재 육성을 통해 사이버 안보를 국가 생존 전략으로 삼고 있음을 언급하였습니다.
반면, 한국은 국가사이버안보기본법 제정 지연과 컨트롤 타워 부재로 사이버 안보 대응이 미흡하다는 지적입니다. 슈타우버 대표는 사이버 안보가 곧 국방력임을 강조하며, 한국도 일본과 이스라엘처럼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
|
|
나녹스
나녹스, 2분기 가상 투자자 서밋 이벤트서 전략적 개요 발표📢
|
|
|
나노 엑스 이미징(Nano X Imaging Limited, NASDAQ: NNOX)은 2분기 가상 투자자 서밋 이벤트에 참가하여 의료 영상 기술 발전의 전략적 개요를 발표했습니다. 랜 다니엘(Rand Daniel) CFO가 주도한 이 컨퍼런스에서는 Nanox ARC 시스템과 AI 솔루션의 진전을 강조하고, 미국 시장에서의 상업화 초기 단계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 나녹스 이미징은 나녹스 ARC 시스템 및 AI 솔루션에 대해 FDA 및 CE 승인을 받아 미국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 회사는 MSAS(Medical Scan as a Service) 모델을 제공하며, 스캔당 30달러를 부과하여 미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재정적으로 나녹스는 7,300만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분기별 실행률은 300만 달러입니다.
- 회사는 AI 솔루션을 확장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00대 이상의 장치를 배포할 계획입니다.
- 설치는 현재 미국, 이스라엘, 가나에서 주로 임상 시험용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
|
|
알파타우
알파타우, IAOO2025에서 두경부암 치료 임상 초기 결과 발표🔬
|
|
|
알파타우가 오는 7월 17~18일 영국 리버풀에서 열리는 세계 최고 권위의 구강종양학회인 IAOO 2025에 참가하여 중요한 연구 성과를 공개합니다.
이번 학회에서 알파타우는 재발성 두경부 편평세포암(HNSCC) 환자를 대상으로 자사의 혁신적인 방사선 치료 기술인 Alpha DaRT와 면역항암제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을 병용 투여하는 임상시험의 긍정적인 초기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현재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Alpha DaRT는 단 한 번의 시술을 목표로 하는 치료법으로, 기존 치료 옵션이 거의 남지 않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
|
나녹스
나녹스, 美 카이저 대학과 임상 및 교육 협력 발표📢
|
|
|
나녹스가 미국 플로리다 최대의 사립대학인 카이저 대학교(Keiser University)와 임상 및 교육 분야에서의 협력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첨단 3D 디지털 단층촬영 영상 시스템 Nanox.ARC가 카이저 대학교 사라소타 캠퍼스에 설치되며, 실시간 시연 및 카이저 대학교 방사선 기술 대학원 프로그램 편입 등을 통해 의료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사용 될 예정이며, 캠퍼스 내 학생, 의사, 방사선사 및 지역 의료 영상 제공업체들도 Nanox.ARC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가자지구 전쟁과 관련, 이스라엘이 휴전 조건에 동의했다면서 또 다른 전쟁 당사자인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조건 수용을 촉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내 대표자들은 이스라엘과 가자지구 문제와 관련해 길고도 생산적인 회의를 했다"며 "이스라엘은 60일간의 휴전을 확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에 동의했다"고 말하며, "우리는 모든 당사자와 함께 전쟁 종식을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취재진과 문답을 나누는 과정에서 가자지구 휴전에 대해 "나는 임박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다음 주 내로 휴전을 이룰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는 이란 핵 시설 폭격 결단 이후 이스라엘과 이란 사이의 휴전이 성사된 이후에 나온 것으로, 이런 성과의 여세를 몰아 가자지구 휴전까지 중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
|
|
이스라엘의 양자 컴퓨팅 오류 솔루션 개발사 퀘드마(QEDMA)가 시리즈 A 투자 라운드에서 2,600만 달러(약 350억 원)를 유치했습니다. 이번 투자는 글릴롯 캐피털 파트너스 (Glilot Capital Partners)가 주도했으며, IBM과 한국투자파트너스가 신규 투자자로 참여해 업계의 높은 기대를 입증했습니다. 퀘드마는 이번 투자금으로 연구 개발 및 영업 인력을 충원하고, 다양한 양자 컴퓨팅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이르면 올해 안에 '양자 우위'를 입증하겠다는 포부입니다. 투자사 글릴롯 캐피털은 "퀘드마는 전체 양자 산업의 운영 체제가 될 잠재력을 가졌다"며, 이들의 기술이 물리학, 제약, 사이버 보안 등 많은 분야에 획기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
|
|
국제 리튬 가격이 반등 기미를 보이지 않자 국내 배터리 소재 업계의 실적 부진이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리튬은 배터리 기업 수익성의 핵심 지표인데 흑자도 간신히 낼 수밖에 없는 구조적 상황에 처했다는 분석입니다. 배터리 소재 업체들은 셀 업계와 달리 대부분의 생산시설을 국내에 두고 있어 세제 도입에 따른 지원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재명 정부가 공약으로 내놨던 국내생산촉진세제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
|
|
블룸버그통신은 애플의 자체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을 총괄해온 핵심 인원인 루밍 팡이 메타로 이직했다고 밝혔습니다. 팡은 2021년 구글에서 애플로 합류해 약 100명 규모의 ‘애플 파운데이션 모델‘ 팀을 이끌어왔으며, 이 모델은 애플의 여러 기기의 AI기능을 개발해왔습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오픈AI 등 여러 빅테크에서 주요 AI 리더들을 높은 연봉으로 영입하는데 힘을 쏟고 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애플이 AI분야에서 고전하고 있다“며 팡의 이직을 시작으로 계속 애플에서 이탈하는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
|
|
"3% 룰 어쩌나"…상법 개정 통과에 제약 바이오 '초긴장'
최대 주주와 특수관계인의 감사위원 선임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3% 룰'이 포함된 상법개정안이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으면서 제약바이오업계가 대응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사외이사'인 감사위원을 선임 및 해임할 때, 최대주주가 소유한 주식과 특수관계인이 소유한 주식을 합산하지 않고 각 3%씩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개별 3% 룰'을 인정하고 있으나, 개정 후에는 무조건 최대주주는 특수관계인이 소유한 주식과 합산해 최대 3%까지만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어, 감사위원 선임·해임에 대한 최대주주 영향력이 크게 줄 수 있어, 기존부터 제기되던 '의결정족수 미달'이 심화될 거란 우려입니다.
|
|
|
코인 공매도 길열리나?…‘대출’ 시작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일제히 ‘코인 대여’ 서비스를 내놓으며 투자 전략 다변화에 나섰습니다. 보유 자산을 담보로 가상자산을 빌려 매도한 뒤, 시세가 하락하면 다시 사서 갚는 일종의 ‘공매도’ 인 셈인데, 사실상 파생상품 거래인터라 법적·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비판도 뒤따릅니다. 거래소들이 동시에 대여 서비스를 출시한 배경에는 급감한 거래대금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선 상승장에만 의존하던 수익 모델에서 벗어나, 시세 하락 시에도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이 열린 셈이지만, 담보 비율이 높은 상태에서 시세가 급등할 경우 손실이 발생하고, 자동 청산이 실행되는 구조인 만큼 투자 위험도 그에 비례해 커집니다. 현행 법제 내에서는 이 같은 구조를 명확히 규정한 조항이 없으나,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
|
|
美, 스테이블코인법 제정 임박… 국내도 법제화 속도
미국 의회가 지정한 '크립토 위크'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업계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도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시동을 건 만큼, 미국 연방 차원의 스테이블코인 통합 논의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탄력이 붙으면서 국내외 금융권 및 핀테크 업계의 시장 선점 경쟁열기도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
|
|
트럼프, 韓에 관세 서한 "8월 1일부터 25%, 무역장벽 제거 땐 조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한국산 제품에 대해 오는 8월 1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백악관은 당초 8일 종료될 예정이었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내달 1일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사실상 이달 말까지 ‘협상의 시간’이 연장된 것으로 보고 이어지는 한ㆍ미 양국 협상에서 최대한 타결 방안을 찾겠다는 방침입니다.
|
|
|
되살아난 관세 공포… 美 증시 3대 지수 1% 하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에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는 서한을 보낸 7일 미국 주식 시장은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트럼프가 “8월 1일부터 부과할 것”이라면서 사실상 부과 시기를 연장했지만, 여러 무역 국가와의 긴장을 다시 고조시키며 불확실성을 증폭시킨 것으로 투자자들이 받아들인 것입니다. 이날 뉴욕 주식 시장에서 다우 평균은 0.9%, S&P500 지수는 0.8%, 나스닥 지수는 0.9% 하락 마감했으며, 이들 지표는 장 초반부터 내림세였지만 한국 등에 대한 상호 관세가 발표되면서 낙폭을 확대했습니다. 시장 반응은 한국과 일본에 대한 상호 관세뿐만 아니라, 이날 트럼프가 중국과 인도, 러시아 등 브릭스(BRICS) 국가에 관세 부과를 시사한 영향도 받았습니다.
|
|
|
'배당성향 35%↑', 금융지주 밸류업 전략 강화한다
정부와 여당이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을 추진하는 가운데 주요 금융지주들이 카드사 등 자회사 배당을 늘리고 자사주 소각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지주들은 당기순이익 중 배당이 차지하는 비중인 배당성향을 중·장기로 35% 수준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검토 중입니다. 정부와 여당이 소득세법 개정을 통해 배당소득 차등(분리) 과세를 추진 중인데, 배당성향이 35% 이상인 상장기업 배당소득에 종합소득과세 대신 분리과세로 부담을 줄이는 방안이 유력하기 때문입니다.
|
|
|
더 많은 요즈마 소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세요! |
|
|
요즈마그룹코리아
request@yozma.asia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457 S&C TOWER 9층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