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요즈마그룹코리아의 1월 30일 (월) 뉴스레터 전달드립니다.
|
|
|
매일경제 이스라엘 취재 특집 기사 <창업강국 이스라엘 가다> |
|
|
요즈마그룹과 요즈마의 포트폴리오 기업들이 매일경제의 이스라엘 취재 특집 기사에 소개되었습니다. 총 6편의 관련 기사가 2023년 1월 30일자 매일경제 신문에 실린 가운데, 스토어닷 취재 기사가 1면 TOP을 차지했습니다. 해당 기사는 대학·연구소·군부대에서의 연구개발과 각 기관 간의 기술 사업화 협력에 기반을 둔 활발한 딥테크 창업을 이스라엘의 핵심 경쟁력으로 설명했으며, 그 예시로 스토어닷을 소개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지면 4·5면 전면을 포함해 총 3개 면에 걸쳐 이스라엘 창업 생태계와 한국-이스라엘 기업 간 협력이 창출할 시너지가 심도있게 다뤄졌습니다. |
|
|
이스라엘 혁신 창업 우수 사례, 스토어닷·울트라사이트·플래테인 |
|
|
스토어닷 뿐만 아니라 울트라사이트, 플래테인의 소식도 보도되었습니다. 텔아비브대 재료공학 연구원 출신들이 설립한 스토어닷은 대학 창업의 우수 예시로, 와이즈만 연구소와 뉴욕대가 공동 설립한 울트라사이트는 이스라엘 내 기관 간 활발한 기술 사업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소개되었습니다. 또한 이들과 플래테인의 기술이 소개되었으며, 각 기업의 한국 진출 계획이 전해졌습니다. |
|
|
이스라엘에는 스토어닷, 울트라사이트, 플래테인과 같은 우수한 국내 스타트업 뿐만 아니라 엔디비아, 인텔, 애플, 페이스북 같은 다국적 기업의 R&D센터 400여 개가 입주해 있습니다. 이는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이스라엘 스타트업과 협업 효과를 내는 중입니다. 대학이 창업가를 기르고 정부가 지원하니 글로벌 기업이 몰리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야니브 골드버그 요즈마 이노베이션 센터장은 "이스라엘 학생들은 졸업 후 스타트업 뿐만 아니라 글로벌 대기업에 취직해 3~5년을 다니다 창업에 나선다"고 말하며, 이렇게 탄생한 스타트업이 해외 투자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정부는 이스라엘에 들어선 다국적 기업이 국내 대학·연구소·스타트업과 공동 기술개발에 참여하는 경우 자금을 지원하며, 기업이 이스라엘에서 철수하는 경우 지원금을 환수하는 패널티를 적용 중입니다. |
|
|
이어서 이갈 에를리히 요즈마그룹 회장과 드로르 빈 이스라엘 혁신청 대표의 인터뷰가 지면에 실렸습니다. '이스라엘 창업대부' 이갈 에를리히 요즈마그룹 회장은 나녹스의 사례를 통해 이스라엘의 혁신 기술과 한국의 첨단 제조 역량이 시너지를 낼 수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에를리히 회장은 이러한 한국-이스라엘 기업 간의 매칭을 통해 신사업 스케일업을 돕는 플랫폼으로 요즈마그룹코리아의 '한국 이스라엘 컨퍼런스'를 소개했습니다. |
|
|
드로르 빈 대표는 이스라엘 스타트업 성공의 비결으로 정부가 아닌 민간이 주도하는 투자 생계계를 꼽았습니다. 정부보다 더 똑똑한 시장이 혁신을 주도하고, 정부는 시장 실패를 바로잡는 역할에 집중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
|
|
StoreDot
스토어닷 CEO Q&A 세션: 전기차는 정말로 친환경적인가 |
|
|
스토어닷이 도론 마이어스도르프 CEO의 Q&A 동영상을 공식 링크드인 홈페이지에 업로드했습니다. 영상에서 마이어스도르프 CEO는 "전기차는 정말로 친환경 기술인가?(Do EVs Really Offer a Clean Technology?)"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시했습니다. 우선 그는 현재 풍력, 태양열, 수소 등 다양한 대체 에너지를 확보하게 된 인류에게 주어진 도전과제는 "어떻게 에너지를 생성할 것인가"에서 "어떻게 에너지를 보관할 것인가"로 진화했다고 말했습니다. 그 답안으로 떠오른 '배터리'는 어떠한 환경 오염도 일으키지 않는 "새로운 오일(new oil)"이라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다만 배터리는 재활용에 대한 문제가 있으나 최근 많은 기업들이 배터리 내부의 리튬, 코발트, 니켈 등 여러 재료를 재활용하고 있다며 그 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
|
|
Airovation
길 토머 COO, '글래스 인터내셔널'에 기고 |
|
|
길 토머 에어로베이션 공동 창업자 겸 COO가 유리 업계 전문지 '글래스 인터내셔널'에 에어로베이션과 페니키아의 파트너십에 대해 기고했습니다. 지난 해 에어로베이션은 이스라엘의 유일한 유리 제조업체 페니키아와 MOU를 체결하고 이스라엘의 유리 공정을 친환경적으로 바꾸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길 토머 COO는 에어로베이션이 유리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를 활용해 페니키아 공장 내 순환 경제를 구축한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 전문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
|
|
Meat.the End
밋디엔드 CEO, 팟캐스트 방송 'Meal-Tech' 출연 |
|
|
밋디엔드가 이스라엘 푸드테크 팟캐스트 방송 'Meal-Tech'에 소개되었습니다. 'Meal-Tech'는 밋디엔드를 불과 창립 2년만에 버거킹 이스라엘과 대형 계약을 성사시킨 혁신 기업으로 소개했으며, 특히 밋디엔드의 친환경적인 기술 및 경영 방식에 주목했습니다. 이샤이 미쇼르 CEO도 방송에 출연해 식품 산업이 기후위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며, 친환경적인 방법으로도 얼마든지 맛있고 질 좋은 고기(대체육)를 만들 수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
|
|
웰마커바이오
진동훈 대표, "WM-S1에 16개 글로벌 제약사 기술수출 협상요청"
|
|
|
진동훈 웰마커바이오 대표는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자체 개발 중인 신약후보물질 'WM-S1(대장암 치료제)'의 라이선스 아웃 협상을 요청한 글로벌제약사가 16개사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다국적 제약사와 'WM-A1(폐암치료제)'에 대한 공동 병용임상시험 최종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진 대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신약후보물질 발굴 첫 단계부터 임상시험, 상용화까지 전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바이오마커를 활용해 온 노하우를 웰마커바이오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았습니다. 현재 IPO를 준비 중인 웰마커바이오는 올해 하반기 코스닥에 기술특례신청을 계획 중입니다. |
|
|
비엘
비엘, 과기부 주관 '민간 R&D 혁신 유공 표창' 수상
|
|
|
비엘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2022년 민간 R&D 혁신 유공 표창'을 수상했습니다. 민간 R&D 혁신 유공 표창은 국내 과학기술 경쟁력을 제고하고 연구개발 혁신에 기여한 민간기업에 수여됩니다. 비엘은 신약개발플랫폼 기술인 '휴마맥스(HumaMAX)'와 '뮤코맥스(MucoMAX)'를 활용한 연구성과로 과학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
|
|
Plataine
플래테인, 인터스트리4.0 웨비나 개최 |
|
|
지난 2021년 이스라엘은 자폐증 군인을 위한 특수 프로그램 'Titkadmu(앞으로 나아가기)'를 도입했습니다. 현재 약 200명의 고기능 자폐증 청년들이 전투 부대를 제외한 육군, 공군, 해군, 정보부 등 이스라엘 사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군대의 모든 영역에서 활약 중입니다.
|
|
|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 차량의 지난해 국내 누적등록 대수가 150만대를 넘어섰습니다. 경유차와 LPG 차량의 비중은 감소했지만 전기차는 68.4%나 급증한 추세입니다.
|
|
|
2026년까지 반도체 시장에서 가장 성장세가 높은 분야는 메모리 반도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단기적으로 수요 절벽 상황이지만 5G, AI 등의 활용이 늘어나면서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란 예측입니다. |
|
|
KPMG인터내셔널에 따르면 22년도 4분기 글로벌 VC 투자는 7641건·756억달러 규모로, 2년만의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올해 1분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자금 조달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지만, 에너지와 ESG 관련 솔루션 분야에는 VC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
|
|
정부가 네이버와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의 M&A 심사를 간이심사에서 일반심사로 전환해 보다 엄격하게 평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골목상권까지 파고드는 빅테크 기업들의 문어발식 지배력 확장을 막고 데 집중하겠다는 목표입니다.
|
|
|
요즈마그룹코리아yozma@yozma.asia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318 SB타워 07052085405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