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요즈마그룹코리아의 2월 20일 (월) 뉴스레터 <2023 아워크라우드 글로벌 인베스터 서밋 특집 上편> 전달드립니다. |
|
|
주요 소식
- 2023 아워크라우드 글로벌 인베스터 서밋
- 제50회 도전과나눔 기업가정신 포럼
- 토도스메디컬, 조류 인플루엔자 A/H5N1 진단 검사 검증 실험
- 소셜인프라테크, 토큰증권 발행 플랫폼 '미닉 ST' 출시
|
|
|
지난 15일, '2023 OurCrowd Global Investor Summit'이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개최되었습니다. '글로벌 인베스터 서밋'은 세계 최대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아워크라우드가 개최하는 투자 유치 연례 행사로, 매년 수천여 명의 글로벌 VC·CVC, 엔젤투자자, 다국적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합니다. 2년 만에 재개된 올해 행사에서는 다양한 업계를 아우르는 수많은 스타트업 기업들이 투자자를 대상으로 IR 피칭 세션을 진행하는 등 활발한 교류를 이어 나가며 투자 유치를 모색했습니다. 요즈마그룹코리아도 함께 한 생생한 혁신 현장의 소식을 오늘 자 조선일보 특집 기사를 통해 만나 보세요😊 |
|
|
조선일보 이스라엘 취재 특집 기사
[창업천국 이스라엘] 上 |
|
|
2023년 2월 20일 자 조선일보 신문 1면과 5면 전면에 걸쳐 '창업천국' 이스라엘에 대한 현장 취재 기사가 보도되었습니다. 총 4편의 기사로 구성된 취재는 아워크라우드 서밋 르포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스타트업 생태계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했습니다. |
|
|
창업천국 이스라엘
이스라엘 스타트업 9500개··· 투자금 20조 몰렸다 |
|
|
요즈마그룹코리아의 포트폴리오 기업 울트라레드와 플래테인이 입주해 있는 텔아비브처럼, 이스라엘에서는 유망한 테크 기업이 몰리는 도시가 곧 최고 번화가로 발전해 왔습니다. 테크 기업은 도시 발전뿐 아니라 국가 전체의 성장 엔진으로서 지난해 글로벌 불황에도 이스라엘이 높은 연간 성장률을 달성하는 데에 기여했습니다. |
|
|
2023 아워크라우드 글로벌 인베스터 서밋 르포
AI·대체肉·플라잉카··· 혁신벤처 부스에 글로벌 큰손 9000명 몰려 |
|
|
2023 아워크라우드 글로벌 인베스터 서밋에는 전 세계 81개국 9,000여 명의 투자자가 참석한 가운데 부스 운영, IR 피칭, 1:1 미팅 등 다양한 투자 유치 이벤트가 분주하게 이뤄졌습니다. 그중에서도 "지구를 구하자(Saving the Planet)"라는 올해 주제에 따라 푸드테크 및 농업테크가 특히 주목받았습니다. 아워크라우드 서밋은 투자 유치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생태계 내 '네트워킹의 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야니브 골드버그 요즈마 이노베이션 센터장은 "서로 돕고 함께 잘되자는 문화가 오늘의 '창업 국가'를 받쳐주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
이스라엘 혁신청
벤처육성 프로그램 '혁신청'으로 통일··· 기업 요청자금의 50%만 지원 |
|
|
'이스라엘 혁신청'은 펀딩, R&D 지원, 인큐베이팅, 인센티브 등 체계적이고 다양한 벤처 육성 지원 프로그램을 자랑합니다. 아미 아펠바움 이스라엘 혁신청장에 따르면 이러한 육성 프로그램의 핵심은 단순히 '돈을 퍼주는 것'이 아닌, 스타트업과 정부가 '위험 부담을 함께 지는' 의미입니다. |
|
|
메드베드 아워크라우드 CEO 인터뷰
"한국 스타트업 찾아 과감하게 투자할 것" |
|
|
아워크라우드는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개인 투자자와 연결해주는 '증권형 크라우딩 펀딩' 기업으로, 지난 10년 동안 누전 20억 달러를 약 380개 기업에 투자한 이스라엘 최대 투자 플랫폼입니다. 조너선 메드베드 아워크라우드 CEO는 '창업을 통해 0에서 1을 창조하는 이스라엘'과 '제조 능력으로 1에서 10을 만들어 내는 한국'의 협력이 생성해 낼 시너지가 무궁무진하기에 추후 아워크라우드 한국 지사 설립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
|
지난 15일 개최된 도전과나눔 기업가정신 포럼에서 이원재 요즈마그룹 아시아총괄대표가 강연에 나섰습니다. 제50회를 맞아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이원재 대표의 강연으로 이뤄진 이번 포럼에는 약 300명의 기업가 및 VC, AC 등 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중소벤처기업의 성장 전략과 과제'를 논의했습니다. 이원재 대표는 '이스라엘 벤처기업으로부터 불황 극복의 지혜를 배우다'라는 주제로 최근 이스라엘 벤처 시장이 마주한 위기(저금리 자금 고갈, 투자 감소, 기업가치 하락, 정리해고)와 이에 따른 투자 트렌드(CVC, 벤처렌딩, 세컨더리펀딩)를 소개하며, 한파 속에도 희망은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
|
|
Todos Medical
토도스메디컬, 조류 인플루엔자 A/H5N1 진단 검사 검증 시작 |
|
|
토도스메디컬이 PCR 기반 조류 인플루엔자 A/H5N1 진단 검사에 대한 검증 실험을 시작합니다. 최근 조류는 물론 포유류 사이에서도 유행 중인 H5N1은 종종 사람에게 감염되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해 약 60%의 치사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인체를 대상으로 이뤄질 진단 검사 검증 실험은 토도스메디컬의 CLIA/CAP 인증 연구소인 Provista Diagnostics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
|
|
소셜인프라테크
소셜인프라테크, 토큰증권 발행 플랫폼 '미닉 ST' 출시 |
|
|
소셜인프라테크가 토큰 증권(STO) 제도화에 발맞춰 토큰 증권 발행 플랫폼 '미닉 ST'를 출시했습니다. "토큰 증권 발행사와 유통사를 잇는 브릿지 역할"이라는 포부와 함께 출시된 미닉 ST는 각 발행사의 목적에 맞는 최적의 솔루션 제공할 예정입니다. 특히 소셜인프라테크가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미닉 ST에 적용한 '팩트해시' 기술을 통해 외부 검증 기관이 거래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
|
|
UltraRed
울트라레드, 日 ISID와 파트너십 |
|
|
울트라레드와 인포메이션 서비스 인터내셔널 덴츠(Information Services International - Dentsu, ISID)가 파트너십을 발표했습니다. ISID는 일본의 금융, 제조, 서비스 등 다양한 업계를 대상으로 IT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로, 이번 협력을 통해 울트라레드의 최첨단 위협노출관리(Threat Exposure Management, TEM) 제품의 일본 시장 출시를 지원할예정입니다. |
|
|
Nanox
나녹스,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즈와 파트너십 |
|
|
나녹스와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즈가 협력을 발표했습니다. 애플 시리에 음성 인식 엔진 기술을 제공한 것으로 유명한 인공지능 개발업체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즈는 자사의 AI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 '뉘앙스 정밀 영상 네트워크(Nuance Precision Imaging Network)'를 통해 진단 영상 분야 임상 및 관리 워크플로우에 환자 관련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제공해 왔습니다. 양사는 뉘앙스의 전국적인 네트워크와 나녹스의 영상 진단 기술을 바탕으로 임상의들의 심혈관 질환 및 골다공증 진단과 치료를 지원하는 포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
|
|
존 폰 노이만(프로그램 탑재 컴퓨터)부터 레이 커즈와일(기술특이점론), 요슈아 벤지오(딥러닝 창시자), 그리고 샘 알트먼(ChatGPT)까지. 인류 발전에 기여한 컴퓨터·AI 기술의 도약과 이를 발명한 유대인 과학자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
|
글로벌 자산운용사 웰링턴 매니지먼트의 산티아고 밀란 거시경제 전문가는 "올해가 물가 둔화의 해가 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기록하면서 연방준비제도의 긴축을 멈추게 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
|
|
'국내 이커머스 1호 상장' 후보 오아시스가 상장을 철회했습니다. 3만원 대의 희망 공모가보다 낮은 2만원 이하에 대다수의 주문이 몰렸기 때문입니다. 컬리부터 케이뱅크, 오아시등 등 조 단위 기업가치를 노리는 대형 IPO가 연이어 무산되면서 후발주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
|
|
하이브의 SM 지분 인수 계획 발표에 따라 시가총액 11조 원에 이르는 '엔터 공룡'의 탄생이 예고됐습니다. 하지만 이후 SM 주가가 하이브의 공개매수가인 12만원을 넘어서고, SM 경영권 관련 논란이 연일 이어지며 하이브의 계획에 차질이 생기는 중입니다. |
|
|
피치북에 따르면 미국 내 벤처투자 규모가 2021년 대비 30% 떨어진 가운데 극초기 및 초기 단계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는 견고했습니다. 투자사들이 IPO 불확실성 등 회수 리스크를 헤징하기 위해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가져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
|
|
요즈마그룹코리아yozma@yozma.asia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318 SB타워 07052085405수신거부 Unsubscribe |
|
|
|
|